본문 바로가기
  • 불가능 그것은 사실이 아니라 하나의 의견일뿐이다.
경제상식

제1금융권이란? 제2금융권, 제3금융권 종류 및 차이

by 릴리리뷰 2021. 3. 11.

안녕하세요. 릴리리뷰입니다.

 

우리가 경제활동을 할때 가장 많이 찾고 이용하는것이 바로 은행입니다.

한동네에도 서너게의 은행은 기본으로 있고, 그 종류도 다양합니다. 

그리고 요즘에는 K뱅크나 카카오뱅크 처럼 인터넷 전문 은행도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은 은행들이 있는데, 어떤 은행은 제1금융권이고 어떤은행은 제2금융권으로 분류됩니다. 

그리고 대출금리가 높기로 유명한 제3금융권까지.. 은행의 종류도 정말 다양한데요. 이런 은행을 제1,2,3금융권으로 분류하는 기준은 무엇이고, 어떤 은행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제1금융권

 

제1금융권은 우리나라의 금융기관 중 예금은행을 지칭하는 용어로, 일반은행과 특수은행 그리고 인터넷전문은행을 포함하여 이르는 말입니다.

 

큰 도시에 본점을 두고 있고 전국에 지점망을 갖춘 일반은행인 시중은행을 비롯해,

지방의 특정 지역에서만 독자적으로 영업하는 지방은행, 

특별법규를 적용받아 특별업무를 하는 특수은행 등이 제1금융권입니다.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시중은행

▷국내은행

- KB국민은행 (KB금융그룹 계열)

- KEB하나은행 (하나금융그룹 계열)

- 신한은행 (신한금융그룹 계열)

- 우리은행 (우리금융그룹 계열)

외국계은행

- SC제일은행 (한국 스탠다드차타드은행)

- 한국씨티은행


2. 지방은행

- 부산은행 (BNK금융그룹 계열)

- 대구은행 (DGB금융그룹 계열)

- 전북은행 (JB금융지주 계열)

- 경남은행 (BNK금융그룹 계열)

- 제주은행 (신한금융그룹 계열)

- 광주은행 (JB금융그룹 계열)


3. 특수은행

- IBK 기업은행  : 중소기업을 중점적으로 지원

- KDB산업은행 : 장기 산업자금 공급

- 한국수출입은행 : 수출과 해외투자에 필요한 자금공급

- 농협은행 : 농업과 축산업 금융

- 수협은행 : 수산업 금융


4. 인터넷 전문은행 (인터넷 전문 은행도 엄연히 제1금융권!)

- 케이뱅크 (KT 계열)

- 카카오뱅크 (카카오 계열)

 

제2금융권

 

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금융기관을 통징하여 부르는 명칭으로,

은행법에 적용을 받지 않으면서도 일반 상업은행과 유사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비은행 금융기관이라고도 합니다.

 

증권회사와 보험회사,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종합금융회사, 신용협동조합, 리스회사, 밴처캐피털 등이 있습니다.

 

제2금융권이라는 말은 원래 은행과 구별하기 위해 만든 용어로, 은행이 제공하지 못하는 전문적인 금융소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제3금융권

 

제1금융권, 제2금융권을 제외한 금융기관을 말합니다.

은행이나 보험회사 등에서 대출받기 힘든 사람들을 위한 대부업체가 대표적입니다.

 

대부업체는 한 번만 이용해도 신용등급이 엄청 떨어져, 나중에 다른 금융권을 이용하기가 어렵습니다.

 

대부업체를 이용하기만 하면 신용등급이 떨어지는 것은 맞지만, 이용만 했다고 등급이 나락으로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개인신용평가가 2017년부터 등급이 아닌 점수로 전환되면서 이용하는 대출금리의 높고 낮음에 따라 신용이 달라지게 되긴했습니다.

 

예를들어 대부업체를 이용하더라도 연10%금리로 대출을 받았을때보다 연20%금리로 대출을 받았을때 신용점수가 더깎이게 됩니다.

 

하지만 현재 대부업체의 법정 최고 이율은 24%로 제1금융권, 제2금융권과 비교하면 대출금리가 매우 높고, 대출이용시 신용점수가 깎이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이용하지 않는것이 신용점수를 지키는 방법입니다.

마치며

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은행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제1금융권이 안전하기 때문에 1금융권만 이용해야 한다!! 이런것이 아니고, 본인의 신용등급 및 자금 상황에 맞게,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주거래 은행을 정해서 자주 이용하다보면 금리 해택도 많이 볼수 있으니 참고해서 본인에 맞는 은행을 이용하면 될것 같습니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