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불가능 그것은 사실이 아니라 하나의 의견일뿐이다.

부동산 정보55

상가투자 꿀팁, 저자본으로 고층상가 투자, 고층상가 투자 수익률 정리 안녕하세요. 릴리리뷰입니다. 오늘은 상가 투자를 할 때, 몇 층에 투자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요즘 재테크에 다들 관심이 많으시죠. 재테크하면 크게 부동산, 주식을 많이 떠오르실 텐데요. 많은 분들이 부동산 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계십니다. 투자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제가 집중하고 있는 투자는 수익형 부동산입니다. 월세 수입을 직장 월급만큼 받는다면? 굳이 출근을 하지 않더라도 생활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경제적 자유인데요, 내가 일을 하지 않아도 돈이 들어오는 시스템을 구축해 놓는 것입니다. 위 시스템을 구축하기에 적절한 것이 바로 수익형 부동산입니다. 그럼 수익형 부동산을 투자하기에 앞서 수익률을 따져보고 나에게 알맞은 수익형 부동산을 찾는 것이 중요할 것.. 2020. 3. 29.
상가 임대수익률 계산 방법, 평균 임대 수익률, 투자 수익률 계산 안녕하세요. 릴리리뷰입니다. 많은 사람들의 꿈 중 하나는 건물주입니다. 저 역시도 건물주가 꿈이에요. 건물주가 되면 경제적 자유는 물론이고 사회적 지위 또한 높아지는 게 현실입니다. 불로소득 만큼 달콤한 것은 없겠죠? 여유롭게 여행을 즐기며 맛있는 음식을 먹고 취미생활을 맘껏 즐기면서 다달이 월세가 들어오는 것이죠. 생각만 해도 너무 행복하네요. 그래서 오늘은 불로소득 중의 하나인 임대료(웰세)의 수익률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시 말해 임대수익률 계산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임대수익률 계산 임대수익률은 상가 매매 가격과 월세를 통해서 계산이 됩니다. 수익률은 대출을 받았을 때와 안 받았을 때로 나누어지는데, 이 둘의 수익률 차이가 꽤 큽니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아요. 그럼 이해하기 쉽게 구체적인 .. 2020. 3. 25.
코로나19 상황 속 부동산 분양시장 전망 안녕하세요 릴리리뷰입니다. 전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비상사태 인데요, 전국민이 코로나19로 인해 몸과 마음이 지칠대로 지친상태입니다. 하루 빨리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가 끝나고 모두들 건강했으면 좋겠습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기업, 자영업, 서비스업 등 모두 타격을 입은 상태입니다. 그렇다면 부동산시장은 지금 어떨지 궁금합니다. 분양시장 전망 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분양시장도 타격을 받았습니다. 코로나 19 위기가 본격화 한 지난달 분양 실적은 예정 물량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 그러나 3월~4월 사이 분양 물량이 집중적으로 쏟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요, ◎3~4월에 분양물량 몰림 예상 .. 2020. 3. 7.
3D 디지털 국토 관리 가시화 안녕하세요 릴리리뷰입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오늘 3월 6일, '3D 디지털국토 관리 가시화된다' 를 발표하였습니다. 3D 디지털국토 관리가 어떤건지 정확히 이해가 되지는 않았어요. 막연히 3D라고 하니까 3차원으로 데이타관리를 한다는 건가? 라는 생각 정도? 그래서 이번에 발표한 3D 디지털국토 관리에 대해 자세히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3D 디지털국토 관리 가시화된다' -2020년 국가 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발표- ◈ 3차원 공간정보 확충, 국민생활 안전, 산업지원 등에 4천억 원 투자 ◈ [중앙부처] 전국 3차원지도 시범사업, 디지털 지적재조사 확대 등 추진 ◈ [지 자 체] 3차원 공간정보 구축과 행정분야 활용 등 추진 올해 전국 3차원지도 시범사업, 지자체들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 사업등 953개 .. 2020. 3. 6.
전세, 월세 묵시적갱신 계약 자동연장? 안녕하세요 릴리리뷰입니다. 오늘은 전세,월세 묵시적갱신에 대해 알아볼거에요. 내집이 아닌 이상 집주인과 전세 혹은 월세로 계약을 하고 살게 되죠. 계약이 끝나게 되면 이사를 가던가 아니면 다시 계약을 연장해서 살던 집에서 계속 살게 됩니다. 그런데, 계약만료일이 다가와도 집주인이 아무말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집주인이 전세금을 올려다라거나, 집을 빼달라고 하면 세입자 입장에서는 굉장히 난처하겠죠. 전세금이 한두푼도 아니고 다른 집을 당장 구하기도 힘드니까요. 이런때를 대비해서 세입자(임차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법조항이 있습니다. 바로 묵시적갱신이라는 조항입니다. 묵시적갱신이란? 주택임대차보호법에는 다음과 같이 나와있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 6조 ①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2020. 3. 1.
건폐율 용적율 정리, 차이점 안녕하세요 릴리리뷰입니다. 부동산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를 알아보려고 하는데, 바로 건폐율과 용적율입니다. 재건축을 할때 많이 듣게 되는데요, 듣기만하고 그냥 지나쳤다면 헷갈릴수 있는 용어들입니다. 이번에 확실히 알고 가자고요. 건폐율과 용적율을 이해하기 위해서 먼저 기본적인 용어부터 알아야 합니다. 바로 대지면적, 바닥면적, 연면적, 건축면적 입니다. 그럼 먼저 대지면적, 바닥면적, 연면적, 건축면적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건폐율과 용적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대지면적: 대지의 수평투영면적 입니다. 2. 바닥면적 : 건축물의 각 층 또는 그 일부로서 벽, 기둥,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구획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 입니다. 3. 연면적 : 하나의 건축물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 입.. 2020.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