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릴리리뷰입니다.
명품 가방, 고급시계, 스포츠카 등 가격이 비싸지만 잘 팔리는 제품들이 있습니다.
이 제품들은 경제가 어려워도 수요가 줄지 않고, 오히려 없어서 못 팔 정도인데요.
이런 현상을 나타내는 경제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베블런 효과'입니다.
저는 이 용어를 보고,
"배부른 효과?"
라고 연상이 되었는데요ㅋㅋ
흔히들 "배부른 소리 한다~! "라고들 하잖아요.
(넉넉하고 여유 있는 상황인데도 앓는 소리로 상대방에 대한 배려 없이 내뱉는 사람한테 하는 말)
넉넉한 사람들이 과시욕 때문에 생겨난 용어라서 잘 연상이 되더라고요.
아무튼 용어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베블런 효과 (Veblen Effect)
가격이 오르는 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말합니다.
베블런 효과는 상류층 소비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비 형태로, 가격이 오르는 데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명품 가방이나, 고급 스포츠카 등은 경제상황이 악화되어도 수요가 줄어들지 않습니다.
이는 꼭 필요해서 구입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단지 부를 과시하거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구입하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이 용어는 미국의 사회학자 소스타인 베블런이 1899년에 출간한 <유한계급론>에서 "상층계급의 두드러진 소비는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기 위해 지각 없이 이루어진다."라고 말한 데서 유래했습니다.
<유한계급론>에 있는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물건의 효용이 아니라 상대적 지위와 서열을 보여주고자 하는 과시적 소비"에 대한 비판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가방의 효용(본질)은 물건을 담고 소지품을 보관하는 용도인데, 어느 순간부터 사회적 지위와 서열을 보여주는 용도로 변질되어 버렸고, 사람들이 명품에 열광하게 되었죠.
베블런 효과의 활용
고급 브랜드의 이미지
샤넬, 루이뷔통, 프라다 등 명품들은 모두 고급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급 브랜드의 이미지를 이용해 당사의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의 가치 또한 고귀하고 고급이다.라는 이미지를 갖게 해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고급 브랜드의 이미지를 갖게 되면, 아무리 가격이 비싸더라도 '고급, 럭셔리, 희소성' 등의 명분으로 소비자의 구매욕을 자극하게 됩니다. 이로써 실제로 부유층이나, 부유층을 동경하는 사람들의 주머니를 열게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런 고급 브랜드의 이미지를 갖기 위해서는 제품의 성능이나 품질은 매우 뛰어나야 하며, 꽤나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사람들로부터 인정을 받아야지만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베블런 효과'를 이용한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베블런 효과 이런 건 어떨까?
"푸라닭" 이란 치킨 브랜드가 있습니다.
명품 브랜드인 "프라다"와 "닭"을 합성해서 만든 이름입니다.
실제로 포장상태가 다른 치킨들과 다르게 매우 고급지며 깔끔합니다.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처음에는 참신한 브랜드 이름으로 접근을 하고, 깔끔한 포장상태에 한번 놀라고, 먹고 난 후에는 재주문을 하게 됩니다.
수많은 치킨 브랜드 중에 새롭게 론칭해 성공을 할 수 있었던 비결은
명품 브랜드를 연상시키는 이름과, 그 이름에 걸맞은 포장상태,
그리고 치킨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맛이 뒷받침되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마치며
박리다매와 반대되는 베블런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두 가지 방법 모두 활용을 잘하면 크게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초고속 인터넷이 발달하고, 온라인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일반인도 손쉽게 사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실제로 사업을 할 때, 영업 전략을 어떻게 세우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리는데요,
경제 불황에서도 수요가 줄지 않는 '베블런 효과'를 이용한 전략을 세워서 가치를 창출해 나가는 것은 어떨까 싶습니다.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펭귄효과란? 퍼스트 펭귄이란? (0) | 2021.06.10 |
---|---|
골디락스(Goldilocks)란? 경제 성장에도 물가가 상승하지 않는 이유는? (0) | 2021.06.09 |
레드오션,블루오션,퍼플오션 알아보기 (0) | 2021.05.12 |
대체재와 보완재-새로운 시대, 대체재와 보완재의 변화 (0) | 2021.05.05 |
그레셤의 법칙(Gresham’s law)_ 경제용어, 사회현상과 우리의 자세 (0) | 2021.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