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불가능 그것은 사실이 아니라 하나의 의견일뿐이다.
경제 공부방

고용률의 정의, 중요성 경제에 미치는 영향

by 릴리리뷰 2024. 12. 8.

고용률의 정의

고용률은 일정한 나이 이상의 경제활동 인구 중에서 실제로 일자리를 가진 사람의 비율을 말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생산 가능 인구(15세~64세)를 기준으로 계산하며, 다음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고용률 = 취업자 / 수생산 가능 인구 × 100

 

고용률은 국가나 지역의 경제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실업률과 함께 경제 활동과 노동 시장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고용률의 중요성

고용률은 단순히 일자리가 얼마나 많은지를 나타내는 것 이상으로, 한 국가의 경제적 안정성, 사회적 통합, 그리고 삶의 질을 평가하는 핵심 척도입니다.

  1. 경제적 안정성
    • 고용률은 경제활동과 노동시장의 강도를 보여줍니다. 높은 고용률은 소비 여력 증가, 세수 확대, 경제 성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사회적 통합
    • 일자리를 가진 사람들은 사회적 지위를 갖추고 지역사회에 기여할 기회를 얻게 됩니다. 반면 고용률이 낮으면 사회적 배제와 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3. 정책 평가 도구
    • 정부의 고용 정책이나 산업 정책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판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고용률의 사례 분석

성공 사례: 독일

  • 독일은 고용률 75% 이상을 유지하며 유럽 내에서 안정적인 노동 시장을 보여줍니다.
  • 원인:
    • 탄탄한 제조업 기반과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이원제 교육 시스템.
    • 노동 시장 유연성을 증대시키는 정책.
  • 결과:
    • 높은 고용률은 독일 경제의 성장 기반을 뒷받침하며, 유럽 경제 위기 시에도 안정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  

고용률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소비와 경제 성장
    • 고용률이 높을수록 가계소득이 증가하고, 이는 소비 지출로 이어져 경제 전반에 활력을 줍니다.
    • 예시: 2020년 팬데믹 이후, 많은 국가들이 고용을 회복하면서 소비 회복과 경제 성장의 선순환이 일어났습니다.
  2. 세수 증가
    • 고용률 상승은 개인 소득세와 소비세 증가로 이어져 정부의 재정 건전성을 강화합니다.
  3. 생산성 향상
    • 고용률이 높으면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많아져 전반적인 생산성이 증가합니다.
  4. 산업 구조 변화
    • 고용률의 변화는 산업 구조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새로운 직업군이 생겨나면서 고용률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고용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1. 삶의 질 향상
    • 고용은 단순히 소득을 넘어, 개인의 자아실현과 사회적 소속감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 긍정적 사례: 북유럽 국가들은 높은 고용률과 복지 정책을 통해 삶의 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2. 사회적 안정
    • 고용률이 높으면 범죄율 감소, 사회 갈등 완화 등 긍정적 사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소득 불평등 완화
    • 안정적인 고용 기회는 소득 격차를 줄이고 경제적 평등을 증대시킵니다.
  4. 저출산 및 인구 문제
    • 고용률이 낮으면 가계의 경제적 부담이 커져 저출산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안정적인 고용 기회는 인구 문제 해결에 기여합니다.
    •  

관련용어

  • 경제활동인구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 기간 동안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제로 수입이 있는 일을 한 취업자와 일을 하지 않았으나 그 일을 즉시하기 위하여 구직활동을 한 실업자.

 

  • 경제활동참가율
    15세 이상 인구 중에서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인구의 비율임. 경제활동에 참가한다는 것은 취업하고 있거나 혹은 실업자로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

 

  • 고용률
    생산가능인구 중에서 특정 시점에 취업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임. 국내 기준 고용률은 생산가능인구를 15세 이상 인구로 정의하며, OECD 기준 고용률은 생산가능인구를 15-64세 인구로 정의함.

 

  • 비경제활동인구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 주간에 취업도 실업도 아닌 상태에 있는 사람을 말하며, 이들은 주된 활동상태에 따라 가사, 통학, 연로, 심신장애, 기타로 구분.

 

  • 생산가능인구
    생산가능연령인 15세 이상 인구로 현역군인, 공익근무요원, 전투경찰(의무경찰 포함), 형이 확정된 교도소 수감자, 소년원 및 치료감호소 수감자 등은 제외함. OECD에서는 생산가능인구를 15-64세 인구로 정의함. 생산가능인구는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로 나뉘는데 경제활동인구는 다시 취업자와 실업자로 나뉘며, 비경제활동인구는 주부나 학생, 구직단념자 등이 해당.

 

  •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자 중에서 실업상태에 있는 사람의 비율.

 

  • 실업자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기간에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않았고,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으며, 조사대상기간에 일이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한 사람(2000년 이전에는 구직기간 1주 기준, 그 이후부터는 구직기간 4주 기준).

 

  • 취업자
    조사 대상 주간에 소득, 이익, 봉급, 임금 등의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가구 단위에서 경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데 도와준 가족종사자로서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자, 직업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 대상 주간에 일시적인 병, 일기불순,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

결론 및 전망

고용률은 경제와 사회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지속적인 관찰과 개선이 필요합니다. 기술 혁신, 산업 구조 변화, 글로벌화 등은 노동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이며, 정부와 기업은 이를 반영한 고용 정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특히 청년과 여성의 고용률을 높이는 정책,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새로운 일자리 창출 노력 등이 필요합니다.

 

고용률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증대시키고,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여 더 많은 사람들이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댓글